|

|
철도교통관제운영 및 실무 |
|
|
|
 |
9791162890165 |
 |
\22,000 |
 |
2019-02-28 |
 |
190*260 |
 |
306 p |
|
|
 |
박정수 | |
|
|
|
|
| |
|

|
철도안전 확보를 위한 국가의 역할과 정립, 법과 제도 체계를 마련하여 선진국 수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5년 철도안전법이 시행되었으며, 우리나라에도 철도차량운전면허, 철도교통관제자격증명제도가 탄생하여 철도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필자는 1990년부터 도시철도와 인연을 맺어 서울교통공사 4호선에서 기관사 업무, 1, 2, 4호선 운전관제사, 열차운영처 운전계획 담당을 하였고 현재는 철도대학에서 철도전문인력 후진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철도교통관제사 운영 및 실무에 대한 체계적으로 편찬된 도서가 부족한 상태에서 대학에서 철도관제수업을 수년간 진행하면서 정리한 노트, 운전관제사업무 실무경험과 당시 관제교육 받은 자료 등을 바탕으로 철도교통 관제운영 및 실무를 배우는 학부생을 위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서울교통공사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
|
 |
현)동양대학교 철도운전제어학과 교수
전)철도기술교육센터장/철도사관학교원장
한양대학교 교통공학박사/철도계획전공 |
|

|
제1부 철도교통관제운영 현황
01_서울교통공사 관제운영 현황
1 관제센터 주요업무
2 운전관제
3 상황관제(여객관제, 여객사령)
4 검수관제
5 전력관제
6 신호관제
7 정보통신관제
8 시설관제
9 PSD관제
02_코레일 고속철도 관제운영 현황
1 일반현황
2 고속철도 안전설비
3 고속철도 지진감시 시스템
4 전기관제(SCADA)
제2부 철도교통관제운영 시스템
01_열차운행계획
1 운전관제장치
2 운전관제 업무
02_열차운행프로그램
1 열차DIA의 개요
2 첫차 정시운행 확보
3 출고열차 정시운행 확보
4 운전장애시 10분내 본선개통
5 막차 승환 승객 승환 철저
6 상황보고 철저
7 비상 제동거리 공식
03_선로지장 취급내규
1 총칙
2 선로차단공사 및 선로일시사용중지
3 특수차 모타카의 사용
4 특수차(모타카)의 운전취급
5 모타카 안전운행
04_선로작업관리시스템
1 Process 개요
2 Process 흐름도
3 시스템 처리 절차
05_영업개시준비업무시행예규
1 총칙
2 영업개시에 따른 전차선 급·단전 시각
3 영업개시 준비업무 시행에 대한 시각 기준
4 각 분야별 확인사항 및 보고계통도
5 전차선 급·단전 취급
6 호선별 첫 열차 운행 시각표
7 각 분야별 확인 및 보고사항
제3부 철도관제설비
01_신호보안장치
1 신호보안장치의 개요
2 철도신호의 종류
3 선로전환장치
4 궤도회로
5 폐색장치
6 자동열차정지장치(ATS)
7 열차제어설비
8 ATP/ATO 장치
9 열차제어시스템(도시철도)
10 연동장치
11 전자연동장치
12 전기쇄정장치
13 연동도표
14 신호시스템의 안전성
02_신호관제설비
1 종합 열차운행 제어장치
2 열차운행제어(TTC)
3 열차운행 관리/실적 컴퓨터
4 TTC 장치
5 관제 제어탁과 콘솔컴퓨터
6 기지표시반(입고/출고열차번호표시)
03_정보통신관제설비
1 관제업무 현황
2 주요 관제설비
04_전력관제설비
1 시스템의 기본구성
2 감시 및 제어
3 원방제어설비의 구성
4 전력관제설비 주요장비
05_기계관제설비
1 설비관제 시스템 계통도
2 설비관제 시스템 사양 및 운영 매뉴얼
3 설비관제 장애 발생시 현상 및 조치
4 설비관제 사고사례
제4부 관제관련규정
01_서울교통공사 관제운영규정
02_서울교통공사 관제업무내규
03_철도교통관제운영규정
제5부 비상시 조치 등
01_비상대응 매뉴얼
02_철도사고사례
1 대구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화재사고
2 공항철도(주) 계양~검암역 간 전동열차 사상사고
3 서울교통공사 2호선 상왕십리역 전동열차 충돌~탈선사고
부록
01_용어의 정의
02_약어
03_참고문헌
04_찾아보기 |
|